Skip to content
서울특별시 탄소중립 지원센터
  • 센터소개
    • 인사말
    • 설립목적
    • 비전
    • 조직도
    • CI 소개
    • 오시는 길
  • 서울시 탄소중립
    •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현황
    • 서울시 정책
  • 센터 주요사업
    •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 온실가스 인벤토리
    • 기후예산제
    • 시민 참여·소통 강화
  • 탄소중립 정책
    • 탄소중립 목표
    • 탄소중립 감축정책
    • 탄소중립 적응정책
  • 자료실
    • 연구자료
    • 통계자료
    • 탄소중립 브리프
  • 알림·참여
    • 서울시 소식
    • 센터소식
    • 기후예산제 게시판

자료실

  • 연구자료
  • 통계자료
  • 탄소중립 브리프

연구자료

  • copy

대한민국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대기질 개선 경험과 시사점

  • 저자 : 황인창,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 등록일 : 2025-02-16
  • 조회수 :
    329
  • 서울, 인천, 경기 세 지역은 총 인구 2,600만명으로 대한민국 북서쪽의 12,000 평방 킬로미터 면적을 차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대도시 구역이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2016년 대한민국 전체 GDP의 48%를 이들 세 지역이 차지했다.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대규모 인구와 경제 활동은 대기오염 물질의 배출을 야기하는 교통, 산업, 폐기물 배출, 전력생산 등의 활동들을 증대시켜 왔다. 그 결과 미세먼지(PM)와⋯

서울시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시행방안 학술용역 (2021)

  • 저자 : 황인창, 김경도, 백종락, 남현정
  • 등록일 : 2025-02-16
  • 조회수 :
    159

서울시 건물온실가스 총량제 제도설계(2024)

  • 저자 : 황인창, 이현정, 백종락
  • 등록일 : 2025-02-16
  • 조회수 :
    269

Implementing Seoul’s greenhouse gas management in buildings: Insights from the SICE model

  • 저자 : In Chang Hwang , Yoonhye Yi , Hyun-jung Lee , Jong-rak Baek
  • 등록일 : 2025-02-13
  • 조회수 :
    135

서울시 2022년 기후예산 분류와 기후예산서 작성지침

  • 저자 : 유정민, 신가희, 김정아
  • 등록일 : 2023-02-08
  • 조회수 :
    508
  •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혁신적인 제도와 함께 정부의 과감한 재정 투자에 기반한 인프라 전환이 필수적이다. 특히, 공공·민간의 녹색투자 전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녹색 산업분류(green taxonomy)와 정부예산이 기후 영향을 줄이는 방향으로 수립될 수 있도록 하는 ‘녹색 예산’ 제도가 도입되고 있다.

저탄소 친환경 행동 활성화 위한 인센티브 부여 방안

  • 저자 : 김고운, 황인창, 홍상연, 유정민, 강원삼, 이혜진
  • 등록일 : 2022-04-13
  • 조회수 :
    444
  • 기후위기는 더 이상 미래가 아니다. 우리에게 이미 닥친 현실이자 더욱 악화될 미래이기도 하다. 암울한 미래를 막기 위해 우리가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다 동원해야 한다. 내연기관차를 더 이상 판매하지 않는다거나 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을 설치하고 건물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구조적 대응만으로는 부족하다. 시민 개인, 개인의 작은 실천도 모이면, 특히 서울 같은 소비 도시에서는 효과적인 기후위기 대응⋯

서울시 에너지전환 정책의 성과와 개선 방안, 그리고 새 방향성 모색

  • 저자 : 유정민, 윤초롱, 윤형미
  • 등록일 : 2021-12-10
  • 조회수 :
    834
  • 세계 인구의 절반, 에너지 소비의 65%, 온실가스 배출량의 75%를 차지하는 도시가 기후변화 문제에서 차지하는 의미는 크다.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1990년대부터 도시는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전환을 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최근 1.5℃ 지구 온도 상승 억제를 위한 국제적 협력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온실가스 절감과 에너지전환을 위한 도시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2050⋯

2050 서울시 탄소배출 중립 위한 정책과제

  • 저자 : 유정민, 황인창, 김정아
  • 등록일 : 2020-11-09
  • 조회수 :
    937
  • 지구 평균 기온은 산업화 시기 이전보다 이미 1℃가량 상승하였으며, 지구온난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폭염, 가뭄, 태풍의 강도와 빈도가 심해지고 있다. 현 온실가스 배출 추세가 계속 유지된다면 우리 사회는 돌이키기 힘든 기후재난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많은 국가, 지방정부, 시민사회에서 기후비상을 선언하고 적극적인 기후위기 행동을 요구하고 있다. 영국, 아일랜드, 캐나다, 프랑스 등의 국가와 전 세계 1,490여⋯

제로에너지건물 리모델링 활성화 위해 서울시, ‘건물 그린 뉴딜’ 전략 추진해야

  • 저자 : 유정민, 윤초롱
  • 등록일 : 2020-07-13
  • 조회수 :
    732
  • 서울시는 ’30년까지 ’05년 대비 온실가스 40%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있지만, ’17년 5.6% 감축에 그치고 있어 더욱 적극적인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더욱이, 지구 온도 상승 1.5℃ 억제 필요성에 대한 국제적인 공감대가 최근 커지고 있어, 서울시 2030 목표를 넘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2050 탄소중립’ 목표 설정과 구체적인 전략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건물 부문은 서울시 총에너지⋯

기후위기 대응 서울시 ‘그린 뉴딜’ 정책 방향과 추진 전략

  • 저자 : 유정민, 김고운, 윤서연, 주재욱, 김정아, 함수한
  • 등록일 : 2020-03-11
  • 조회수 :
    462
  • 생태적 한계점에 다다른 기후변화 문제와 저성장, 양극화, 그리고 코로나19 경기침체에 대한 대응으로 최근 많은 국가와 지역에서 ‘그린 뉴딜’ 정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2019년 민주당 하원의원인 오카시오 코르테즈와 에드 마키 상원의원이 연방정부의 그린 뉴딜 추진을 촉구하는 하원 결의안을 발의하면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다. 이후 그린 뉴딜은 2019년 미국 민주당 주요 대선 후보의 핵심적인 공약이 되었으며, 바이든⋯
서울특별시 탄소중립 지원센터

서울특별시 탄소중립지원센터
주소 : 06756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340길 57 서울연구원
대표전화 : 02-2149-1234 / 팩스 : 02-2149-1019 / 이메일 : seoulnetzero@si.re.kr
Copyright 2023 ⓒ Seoul Carbon Neutrality Support Center All rights reserved.

탄소중립 브리프 구독하고 싶다면? 이메일을 적어주세요!